![](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JMiV/btsJVMX23gM/K29PkmcD0vSpYvT0rVUTEK/img.png)
Mapped Diagnostic Context (MDC) 로깅 라이브러리에서 개발자의 로깅과 디버깅을 위해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MDC를 사용하면 여러 스레드가 동시다발적으로 소스 코드를 실행할 때, 어떤 스레드에 의해 소스 코드가 실행되었는지에 대한 맥락을 로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 여러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한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각 요청에 대한 로그 메시지가 무작위로 출력될텐데요. 각 로그의 출처가 어떤 클라이언트인지 구분해야 할 때 MDC가 매우 유용합니다. 본 포스팅은 블로그 주인장의 'MDC는 어떻게 Request 단위로 값을 저장할까?'라는 궁금증을 계기로 작성되었는데요. MDC의 니즈와 사용법에 대해서는 이미 자세히 설명된 자료가 있어 아래 링..
SPRING
2024. 10. 5. 17:0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백준
- Linux
- linux파일
- 백준27219
- GitHubAPIforJava
- baekjoon
- cron시스템
- 버추억박스오류
- virtualbox
- OnActivityForResult
- Baekjoon27211
- E_FAIL
- 리눅스
- linuxawk
- 버추억박스에러
- api문서
- cat
- 백준27211
- whatis
- 사용자ID
- linuxgedit
- 쇼미더코드
- awk프로그램
- SELECT #SELECTFROM #WHERE #ORDERBY #GROUPBY #HAVING #EXISTS #NOTEXISTS #UNION #MINUS #INTERSECTION #SQL #SQLPLUS
- linuxtouch
- Baekjoon27219
- atq
- GithubAPI
- 코테
- 리눅스cr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