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기억장치란?

주기억장치

  • CPU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저장 장치( = 메모리)
  • 속도가 매우 빠르고, 가격이 비쌈

 

보조기억장치

  • CPU에서 직접 접근이 불가능한 저장 장치
  • 속도가 느리고, 가격이 쌈

 

 컴퓨터 시스템 속의 저장 장치들은 속도가격으로 분류된다. 주기억장치는 CPU에 의해 접근되는 빈도가 잦아 속도가 빨라야 한다. (결국 가격도 비싸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보조기억장치는 접근되는 빈도가 적으므로 속도가 느린 대신에 싼 메모리를 사용한다.

 

 

기억 장치의 계층 구조

  • 위로 갈 수록 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비싸다.
  • 보조기억장치는 컴퓨터의 전원이 나가도 데이터가 보존된다는 특징이 있다.

1분컷 그림

메모리의 구성 요소

1. 몇 개의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Multiprogramming Degree)
  • = 메모리에 있는 프로세스 개수

 

2. 각 프로세스에게 얼마큼의 메모리를 줄 것인가

  • 고정/정적 분할: 메모리의 분할을 미리 정하고 고정적으로 운영
  • 가변/동적 분할: 프로세스의 크기나 개수에 따라 메모리의 분할을 변동시켜 진행

(한 분할 당 한 프로세스를 수용할 수 있음)

 

3. 프로세스에게 메모리 할당을 연속적으로 할 것인가

  • 연속적 => 메모리의 동적 적재 기법은 연속적 할당을 전제로 한다.
  • 비연속적 => 세그멘테이션, 페이징 기법에서는 비연속적 할당을 전제로 한다.
반응형